Search

부천시 마을교육생태계 구축 연구

태그
마을교육생태계
미래교육
미래교육생태계
혁신교육지구
FGI
워크숍
연구보고서
카테고리
연구
진행연도
2022
2 more properties

프로젝트를 이끈 핵심 질문

“부천 교육공동체가 바라는 미래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부천 미래교육생태계는 어떻게 구축되고 발전할 수 있을까?”

프로젝트 요약

프로젝트 진행기간: 2022년 6월-11월 (6개월)
프로젝트의 목표: 부천형 미래교육 비전 수립과 실행에 대한 부천교육공동체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학교와 마을이 함께하는 마을교육생태계 구축 및 부천미래교육센터 설립에 맞춘 부천형 미래교육의 토대를 구축한다.

프로젝트 내용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와 연구 공동체(Co-Creation Team), 리빙랩(Living Lab)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교육주체들이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교육생태계를 경험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문헌 조사와 이해관계자 사전 인터뷰, 교육주체별 초점그룹인터뷰, ‘우리-마을’ 워크숍, 타지역 센터 담당자 초점그룹인터뷰, 부천미래교육센터 내부 워크숍,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부천미래교육센터 구성원들과 함께한 내부 워크숍(2회)과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함께 모이는 ‘우리-마을’ 워크숍(2회)을 진행함으로써, 리빙랩 방식으로 참여자 스스로 미래교육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반응형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인 Typeform을 활용하여 1,420명의 부천 교육주체들과 부천시 미래교육에 관한 미니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미래사회 변화의 흐름과 부천 교육공동체의 목소리를 토대로 도출된 부천 미래교육 비전은 ‘실제 삶과 연결된 배움’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관계를 맺고, 스스로 주도하며, 건강한 시민으로 자라는 배움’이라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관계성, 주도성, 시민성이라는 3가지 교육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첫째, 관계성 (Relationship) : 학교 안팎을 넘나들고 연결되어 나를 알고 타인을 공감하는 배움, 둘째, 주도성 (Ownership) : 자유롭게 탐색하고 선택하며 스스로 주도하는 배움, 셋째, 시민성 (Citizenship) : 개인을 뛰어넘어 공동체를 돌보고 가꾸며 함께 성장하는 배움입니다.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과제로는, 부천형 교육과정 개발, 1:1 진로 멘토링, 청소년 제안형 진로직업 체험 기획단, 청소년 인턴십, 미래 학습단, 부천 미래교육 컬렉티브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아이들에게 마을은, 우리를 가장 잘 이해해주는 어른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이 무언가 해보려고 할 때 가장 안전하게 느끼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요.”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학부모 L ”학생들의 배움에 조금 더 자율성을 주면 청소년들이 더 행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학교나 마을활동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요.”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학생 N ”학교 안에서 배우는 것과 학교 밖에서 배우는 것이 다르지 않은 것, 교육과 삶은 더이상 동떨어질 수 없어요. 학생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야 해요.”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교장 K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연구 과정에서부터 교육생태계를 경험하다
참여실행연구와 연구공동체, 리빙랩 전략 등을 사용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교육생태계’를 경험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연구하면서 학습한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연구팀 내부의 연구 역량 강화를 실험하고 실천하였습니다. Inside Project라는 이름으로 국내외 문헌조사 내부 스터디 및 발제, 인터뷰 전사 기록 및 내부 발제, 워크숍 전사 기록 및 내부 발제 등 연구팀이 따로 또 같이 스터디하고 발표하면서 서로의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쌓아가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미래교육생태계’ 개념을 제시하다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생태계로의 전환, 미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생태계 조성의 의미를 밝히며, 그동안 미래교육과 마을교육을 구분지어 논의하던 것에서 나아가 미래교육과 마을교육생태계를 통합한 ‘미래교육생태계’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부천 청소년을 둘러싼 교육생태계를 상상할 때, 생태학적 교육 환경(Life-wide)과 생애단계별 교육 경험(Life-long), 교육경험의 깊이(Life-deep) 3가지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습니다.
마을교육생태계 구축은 한 방향으로 마음을 모아야 가능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할수록 마을교육생태계 구축이 쉽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각각의 주체들마다 처한 상황과 욕구가 다 다르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 마음을 모으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니까 만나다 보면 많은 부분 저절로 해결되는 것이 있더라고요” 라고 해주신 어느 교장 선생님의 말씀처럼, 만나고 모이기를 자주해야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좀처럼 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또한, 만남을 준비하고 좋은 대화와 질문으로 구조화해야한다는 것도요. 다만, 두 차례의 ‘우리-마을’ 워크숍에서 ‘학생-교사-학부모-마을강사-미래교육센터 구성원’이 원탁에 둘러 앉아 서로 마주보며 대화하는 장면에서는 마을교육생태계의 씨앗을 엿볼 수 있었답니다.

프로젝트 결과 자료

프로젝트 관련 문의 info@gingertproject.co.kr

다른 프로젝트 둘러보기

알파세대와 미래청소년활동 연구
연구
알파세대와 미래청소년활동 연구
연구
Load more
홈으로